▶ 문학을 정의할 때의 유의점
①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을 가급적이면 다 포함하는 정의가 바람직할 것이다.(둘 다 언어예술이기에)
② 범위의 문제 → '말로 된 모든 것' 가운데서, 그 가치와 더불어 주제를 한정해야 한다.
③ '예술로서의 문학'을 참 문학으로 볼 때, 전통적인 장르인 서정시, 소설, 희곡 등에서 발견하게 되는
허구, 미적 상상, 창조성 등이 본질이 되어야 할 것이다.
④ 문학의 정의에는, 배경이 되는 세계, 작품의 생산 주체인 작가, 그 작가가 창조한 작품, 그리고 그것을
수용하는 독자와의 관계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.
▶ 문학에 대한 여러 사람의 정의
①서사시와 비극, 희극과 디튀람보스(디오니소스의 찬가), 그리고 대부분의 피리 취주(디튀람보스에
사용함)와 기타라(현악기의 일종) 탄주는 전체적으로 볼 때 모방의 양식이다. <Aristoyeles>
② 문학이란 상상, 감정 및 취미를 통한 사상의 기록된 표현이며, 더욱이 그것은 일반인에게 쉽고 흥미
로운 비전문적 형식으로 표현된 것이다. <Hunt>
③ 문학은 가치있는 체험의 기록. <최재서>
④ 실제로 문학은 … 사상적 강화의 거대한 힘, 사회생활과 투쟁의 본질적 측면의 재현, 그 발전에
있어서의 생활상의 갈등의 표시, 참으로 깊은 심적 체험의 분석, 사고의 가장 섬세한 음영을 정확히
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. <소련과학 아카데미,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의 기초이론>
▶ 넓은 의미의 문학의 개념
→ 언어(음성, 문자)로 된 모든 글
▶ 좁은 의미의 문학의 개념
→ 작가가 인간의 가치있는 체험을 상상력으로 재구성하여, 언어로 표현하는 예술의 한 갈래.
|